[Vue.js] Vue.js 기본

Published: by Creative Commons Licence

참고 문서

테스트 환경 정보

  • Vue 3

개요

Vue.js 사용 방법 정리 글.

설치

Quick Start

HTML에서 외부 스크립트로 사용하기

Vue를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쪽은 스크립트 태그 혹은 CDN 방식이라 한다.

External link:

<!-- <script src="https://unpkg.com/vue@3"></script> -->
<!-- 아래와 같음 -->
<script src="https://unpkg.com/vue@3/dist/vue.global.js"></script>
<div id="app">{{message}}</div>
<script>
const {createApp} = Vue;

createApp({
  ...
}).mount('#app')
</script>

ESM(ECMAScript Modules):

<div id="app">{{message}}</div>
<script type="module">
import {createApp} from 'https://unpkg.com/vue@3/dist/vue.esm-browser.js';

createApp({
  ...
}).mount('#app');
</script>

Node.js 모듈로 사용하기

Node.js CLI 환경에서 Vue 컴파일러로 빌드하는 방식을 말한다(Vue 패키지는 컴파일러와 웹 서버를 포함한다). Vue CLI 혹은 SFC(Single-File Components) 방식이라고 한다.

npm으로 설치한다:

npm install vue@latest

Vue 앱 만들기:

npm exec create-vue
# 혹은
npm init vue@latest

생성된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npm install
npm run dev

API 스타일

Vue 3부터는 Composition API 스타일과 Options API 스타일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두 스타일 모두 빌드 단계 없이 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방식인 경우 두 스타일의 코드 차이는 아래와 같다:

Options API 스타일:

<div id="app">
  <h1>{{pageTitle}}</h1>
  <p>{{message}}</p>
</div>

<script type="module">
import { createApp } from '/lib/vue/vue.esm-browser.js';

createApp({
  data() {
    return {
      pageTitle: 'Vue 시작하기',
      message: 'Hello Vue! ✌️'
    };
  },
  created() {
    document.title += `: ${this.pageTitle}`;
  }
}).mount('#app');
</script>

Composition API 스타일:

<div id="app">
  <h1>{{pageTitle}}</h1>
  <p>{{message}}</p>
</div>

<script type="module">
import { createApp, ref } from '/lib/vue/vue.esm-browser.js';

createApp({
  setup() {
    const pageTitle = ref('Vue 시작하기');
    const message = ref('Hello Vue! ✌️');

    document.title += `: ${pageTitle.value}`; // onCreated()는 없음

    return {
      pageTitle,
      message
    };
  }
}).mount('#app');
</script>

사용 가능한 메서드 등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어느 한 가지 스타일을 선택한다고 해서 다른 스타일을 못쓰는 것은 아니다. 나중에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니, 대충 입맛에 맞는 모양을 고르면 된다.

공식 가이드에 따르면, Options API는 Composition API 위에 구현되어 있으며, Options API 스타일이 좀 더 OOP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구조라고 한다. Composition API는 초보자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좀 더 유연하며 높은 복잡성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되어 규모 있는 앱 구축에 적합하다고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볼 것.

<script setup>

Composition API 스타일은 setup()<script setup>로 나뉜다. 이 중 <script setup>은 SFC로 빌드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생겼다:

<script setup>
import { ref, onMounted } from 'vue'

const el = ref()

onMounted(() => {
  el.value // <div>
})
</script>

<template>
  <div ref="el"></div>
</template>

선언적 렌더링이란?

<p>{{message}}</p>

<script>
createApp({
  data() {
    return {
      message: '안녕하세요'
    };
  },
}).mount('#app');
</script>

위 예시는 반응형 상태값(reactive state)인 message를 선언하고 <p> 태그 바디에 바인딩하는 코드다. message의 값이 변경되면 화면에서도 즉시 바뀐 값이 적용된다.

가이드에 따르면 이것은 데이터와 DOM이 연결되어 모든 것이 반응형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며, 이를 선언적 렌더링이라 한다고…

JSX

Vue도 JSX 사용 가능함:

const vnode = <div>hello</div>

참고

@vue/babel-plugin-jsx 있으면 된다고 한다.

TODO 설명 추가

Reactive State

컴포넌트의 반응형 상태값(혹은 프로퍼티)을 말한다.

Options API에선 data() 메서드로 정의한다:

createApp({
  data() {
    return {
      docs: [
        {title: "어디어디", url: "어디어디"},
        {title: "어디어디", url: "어디어디"},
      ],
      message: "Hello Vue! ✌️",
      sequence: 0
    };
  },
  ...
});

TODO Composition API에선 두 가지로 나뉜다. 정리할 것

Computed Properties

TODO

Template Syntax

데이터를 HTML 태그에 바인딩하는 표현식들이다.

TODO 설명 션찮

Text Interpolation*

텍스트를 단순 렌더링한다. 프로퍼티를 중괄호 두 개로 감싸면 되는데(double curly braces), 공식 도움말에선 이 표현식을 '콧수염'(Mustache syntax)이라고 부른다.

<p>{{mustache}}</p>

* 수학의 보간법과는 관련이 없고, interpolate의 뜻 중 하나인 '덧붙이다' 혹은 '삽입하다'(=insert)라는 뜻임 (출처: 뇌피셜)

Raw HTML

HTML을 escape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p v-html="rawHtml"></p>

XSS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mustache와 v-html 비교

이런 데이터가 있을 때:

data() {
  return {
    rawHtml: '<br>',
    entities: '&lt;br&gt;'
  }
}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rawHtml: mustache는 화면에 <br>이 그대로 보인다. v-html은 문서에 <br> 태그를 삽입한다.
  • entities: mustache는 화면에 &lt;br&gt;이 그대로 보인다. v-html은 화면에 <br>이 그대로 보인다.

속성 바인딩 Attribute Bindings

https://vuejs.org/api/built-in-directives.html#v-bind

v- 접두어가 붙는 사용자 속성은 디렉티브라고 하는데, 속성 바인딩에는 v-bind 디렉티브를 사용한다.

v-bind는 매우 자주 쓰이기 때문에 단축 표현(shorthand syntax)이 있다:

<div :id="dynamicId"></div>
<!-- 아래와 같음 -->
<div v-bind:id="dynamicId"></div>

TODO

Built-in Directives

현재(2023-03-06) 빌트인 디렉티브는 이마안큼 있다.

  • v-text: 콧수염, 텍스트 써넣기
  • v-html: HTML 그대로 삽입
  • v-show:
  • v-if:
  • v-else:
  • v-else-if:
  • v-for:
  • v-on: 이벤트 리스너 등록 (shorthand: @)
  • v-bind: 속성 바인딩 (shorthand: :, .prop이나 .attr modifier는 . 함께 사용)
  • v-model:
  • v-slot (shorthand: #)
  • v-pre:
  • v-once:
  • v-memo:
  • v-cloak:

TODO

자바스크립트 표현식 JavaScript Expressions

콧수염(Mustache syntax)이나 Vue 디렉티브 속성의 내부에 작성한 코드는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으로 작동한다.

<p v-bind:class="['a', 'b']">{{1 + 2}}<p>

예를 들어 위 코드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p class="a b">3</p>

모든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움말에 따르면 하나의 단일 표현식(one single expression)만 가능하며,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이어야 한다고 한다. 메서드 호출은 가능하지만, 선언식이나 반환식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블록{}도 사용할 수 없으며 구문(statements)도 불가능.

전역 변수의 접근 제한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에서 접근 가능한 전역 참조는 정해진 것 외에는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의 전역 변수와 window는 표현식에서 쓸 수 없다. 대신 메서드를 통한 간접 참조는 가능함(표현식에선 메서드를 호출하고. 메서드에서 전역 변수에 접근).

만약 표현식에서 직접 참조해야 하는 전역 변수가 있다면 아래처럼 하면 됨:

let someGlobalVariable = 'foo';

const app = createApp({
  // 생략
});

app.config.globalProperties.someGlobalVariable = someGlobalVariable;

const vm = app.mount("#app");

app.config에 대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할 것.

클래스와 스타일 바인딩

클래스

Object로 지정하기:

:class="{ 적용할클래스이름: 조건식 }"
<div :class="{ active: isActive }"></div>

Object 배열로 지정하기:

data() {
  return {
    activeClass: 'active',
    errorClass: 'text-danger'
  }
}
<div :class="[activeClass, errorClass]"></div> <!-- 'activeClass', 'errorClass'가 클래스로 추가됨 -->

스타일

Object 방식:

<div :style="{ color: activeColor, fontSize: fontSize + 'px' }"></div>

배열로 스타일 바인딩:

data() {
  return {
    baseStyles: 'color: black;',
    overridingStyles: 'color: blue; font-weight: bold'
  }
}
<div :style="[baseStyles, overridingStyles]"></div>

TODO

조건부 렌더링 Conditional Rendering

v-if

조건식이 false이면 요소가 비활성화 되는데, 단순히 CSS로 감추는게 아니라 DOM 자체가 사라진다.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seen: true
    };
  }
}
<div>
  <p v-if="seen">보일락말락</p>
</div>

v-else, v-else-if

else 블록 혹은 else-if 블록을 표현하는 디렉티브. 반드시 v-if 바로 다음에 오는 형제 요소여야 한다.

<div>
  <p v-if="seen">보일락말락1</p>
  <p v-else-if="seen">보일락말락2</p>
  <p v-else="seen">보일락말락2</p>
</div>

v-if on <template>

다른 태그들을 묶기만 하는 더미 태그가 필요할 땐 <template> 태그를 쓰면 된다:

<template v-if="ok">
  <h3>Header 3</h1>
  <p>Paragraph 1</p>
  <p>Paragraph 2</p>
</template>

이렇게 하면 <template>은 제어 처리만 하고 사라진다.

v-show

false일 때 display: none 스타일을 추가한다.

TODO

v-show와 v-if의 차이

v-if는 조건식이 false일 때 아예 렌더링을 하지 않는다. 반면 v-show는 조건식과 상관 없이 일단 렌더링을 모두 한다는게 다르다.

그리고 v-show<template> 태그를 렌더링해버려서 v-if와 다르게 더미 태그로 쓸 수 없음.

목록 그리기 List Rendering

v-for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values: [
        {index: '하나'},
        {index: ''},
        {index: ''}
      ]
    };
  }
}
<div>
    <ul>
        <li v-for="i in values">{{i.index}}</li>
    </ul>
</div>

렌더링 후 app4.values.push({index: '넷'})를 입력하면 반복문의 요소로 추가되며, 화면에 즉시 반영된다.

TODO

  • 단순 배열 반복
  • 객체 배열 반복
  • 다중 배열
  • for-of
  • 배열 아니고 그냥 객체
  • 범위를 하드코딩으로 지정하기
  • v-for와 v-if
  • 같은 요소에서 index나 element에 접근
  • v-for와 컴포넌트
  • 자바스크립트 템플릿 리터럴 사용 시 주의할 점

key

key는 special attribute 중 하나로 Vue의 가상 DOM 알고리즘에서 vnodes(Vue's Virtual DOM)를 식별하기 위한 힌트로 사용된다. Vue는 키가 없을 때 가능한 한 원래의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패치/재사용하려고 시도한다. 반면 키가 제공되면 키의 변경에 따라 요소를 재정렬하거나 제거/삭제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파일 첨부용 <input type="file"> 엘리먼트를 키값을 바꿔 초기화하는 방법이 있다. 페이지 링크

v-for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키가 없을 때의 알고리즘 때문에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요소를 재정렬 하거나 삭제를 해야 한다면 키를 제공할 것.

관련 글: #1, #2

<select v-model="companyNo">
  <option v-for="(ele, index) in companyList" :key="index" :value="ele.companyNo">{{ele.companyName}}</option>
</select>

<!-- 혹은 -->

<select v-model="companyNo">
  <option v-for="ele in companyList" :key="ele.companyNo" :value="ele.companyNo">{{ele.companyName}}</option>
</select>

v-if 같이 쓰기

가이드에 따르면 같은 요소에 둘을 같이 쓰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니 다음처럼 하위 요소로 분리하는 게 좋다:

<ul>
  <template v-for="user in users">
    <li v-if="user.isActive">
      {{ user.name }}
    </li>
  </template>
</ul>

이벤트 핸들링 Event Handling

v-on 디렉티브로 이벤트를 바인딩하고 vue 앱의 methods 항목에 핸들러를 추가한다.

<div>
    <p>{{message}}</p>
    <button v-on:click="reverseMessage">메시지 뒤집기</button>
</div>

버튼 태그를 클릭하면 아래의 reverseMessage 함수가 실행된다:

createApp({
  data() {
    return {
      message: '안녕하세요! Vue.js!'
    }
  },
  methods: {
    reverseMessage: function () {
      this.message = this.message.split('').reverse().join('')
    }
  }
}).mount("#app");

여기서 thisreverseMessage의 소유자 methods가 아니라 app5다. 요것은 Vue.js의 특성임.

속성 바인딩처럼 매우 자주 쓰이기 때문에 단축 표현이 있다:

<button @click="increment">{{count}}</button>
<!-- 아래와 같음 -->
<button v-on:click="increment">{{count}}</button>

Event Modifiers

이벤트 리스닝 표현식에는 modifier(수식어)가 제공되는데, 이벤트 전파를 막거나 이벤트의 기본 행동을 방지하는 등의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다:

  • .stop: Event.stopPropagation()과 같음
  • .prevent: Event.preventDefault()와 같음
  • .self: 이벤트 발동 대상이 정확히 자기 자신일 때만 핸들러 실행
  • .capture: 이 요소의 핸들러는 하위 요소의 핸들러보다 먼저 작동함
  • .once: 한 번만 실행
  • .passive: Event.preventDefault() 호출을 무시하고 이벤트의 기본 행동이 발생함
<form @submit.prevent="onSubmit"></form>
<a @click.stop.prevent="doThat"></a>

key modifier와 mouse button modifier, system modifier도 있다. https://vuejs.org/guide/essentials/event-handling.html#key-modifiers

Key Modifiers:

  • .enter
  • .tab
  • .delete: deletebackspace에도 반응
  • .esc
  • .space
  • .up
  • .down
  • .left
  • .right

Mouse Button Modifiers:

  • .left
  • .right
  • .middle

System Modifier keys:

  • .ctrl
  • .alt
  • .shift
  • .meta

.exact도 있는데, 이 수식어는 system modifier 조합을 결정한다. 몇 가지 예를 들면:

  • @click.ctrl.exact: ctrl키만 누르고 클릭했을 때 반응한다.
  • @click.ctrl: ctrl외에 shiftalt를 같이 누른 상태로 클릭해도 모두 반응한다.
  • @click.exact: system modifier 키를 아무것도 누르지 않고 클릭했을 때 반응한다.

$event

이벤트 핸들러에 전달하는 그 Event 인스턴스다. 뷰 표현식에서는 $event로 명시한다.

<button type="button" @click="search($event)">push-me</button>
export default {
  methods: {
    search(event) {
      console.log(event); // PointerEvent { ... }
    }
  }
}

폼 바인딩 Form Input Bindings

v-model 디렉티브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과 화면에 보이는 값, 그리고 앱의 데이터가 동기화된다.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message: '안녕하세요 Vue!'
    };
  }
}
<div>
  <p>{{message}}</p>
  <input v-model="message">
</div>

이 예시의 경우, input 태그의 value 값이 변경되면 vue 앱의 message 데이터도 같이 변경된다.

하나의 모델로 묶기

체크박스나 셀렉트박스(multiple 속성이 있을 때)는 하나의 name 속성으로 여러 값이 할당될 수 있는데, Vue에서는 v-model을 배열로 선언하여 적용할 수 있다:

<select v-model="multipleSelected" multiple>
  <option value="A">A</option>
  <option value="B">B</option>
  <option value="C">C</option>
</select>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multipleSelected: [] // ['A', 'B'] 이런식으로 할당됨
    };
  }
}

true-value, false-value

체크박스에 한해서, 그리고 여러 개를 하나의 모델로 묶지 않을 때에 한해 체크/체크해제 각각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input type="checkbox" v-model="yn" true-value="Y" :false-value="'N'" />

값이 문자열이면 콜론과 작은따옴표 는 생략해도 된다.

Modifiers

https://vuejs.org/guide/essentials/forms.html#modifiers

v-model에도 Event Modifiers와 같은 modifier가 제공된다.

  • .lazy: 데이터 동기화 시점을 input 이벤트 후가 아니라 change 이벤트 후로 변경한다.
  • .number: 사용자 입력을 자동으로 Number 타입으로 변환한다.
  • .trim: 사용자 입력값 중 처음과 끝의 공백을 제거한다.

Lifecycle

Lifecycle Diagram

TODO

컴포넌트 Components

TODO 설명 추가

// literal-template.js
export const literalTemplate = {
  template: `
    <p>응애 나 아기 컴포넌트</p>
    <div><button type="button" @click="probe">probe</button></div>
    <p>{{message}}</p>
  `,
  data() {
    return {
      message: 'This is literal template message'
    }
  }
};
// parent.js
import {literalTemplate} from '/literal-template.js'

createApp({
  components: {
    literalTemplate
  }
}).mount("#app");
<literal-template></literal-template>

<literal-template>이라고 작성한 부분은 '사용자 정의 컴포넌트를 HTML 템플릿에 삽입'한다고 표현한다.

Slots

컴포넌트를 부모 템플릿에 삽입할 때, 바디 부분에 작성한 값을 다루는 방법이다. 여기를 볼 것.

<!-- parent template -->
<FancyButton>
  Click me! <!-- slot content -->
</FancyButton>
<!-- child template -->
<button class="fancy-btn">
  <slot></slot> <!-- slot outlet -->
</button>

Props

부모에게서 받아오는 읽기 전용 값. 부모에서 컴포넌트 표현식을 작성할 때 바인딩하는 값이 자식 컴포넌트의 props가 되는 식이다. 해당 값이 부모로부터 변경되면 자식 컴포넌트의 props도 변경된 값으로 갱신된다.

참고: 부모가 넘긴 속성값은 자식 컴포넌트에서 props에서 선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상속된다. 이것은 props와 별개로 fallthrough 속성이라 부른다.

<some-picker :foo="'A3456'"><some-picker>

받는 방법은 API 방식에 따라 다르다.

Options API 문자열 배열 방식:

export default {
  props: ['foo'],
  created() {
    console.log(this.foo);
  }
}

Options API 객체 선언 방식:

// 기본 값이나 데이터 타입, 필수 여부를 지정할 수 있음
export default {
  props: {
    foo: {
      type: [String, Number], // String과 Number 둘 다 허용
      default: null,
      required: false
    }
  },
  created() {
    console.log(this.foo);
  }
}

required=true일 때 초기값이 null이면 경고 발생함.

Composition API <script setup> 스타일에서 문자열 배열 방식:

<script setup>
const props = defineProps(['foo'])

console.log(props.foo)
</script>

Composition API <script setup> 스타일에서 객체 선언 방식:

<script setup>
const props = defineProps({
  statusText: 'String'
  required: true, // 필수 프로퍼티로 지정
  validator(value) {
    return ['success', 'fail'].includes(value); // 'success' 혹은 'fail'만 허용
  }
});

console.log(props.statusText)
</script>

Composition API setup() 스타일:

export default {
  props: ['foo'],
  setup(props) {
    // setup()은 첫 번째 인자로 props를 받습니다.
    console.log(props.foo)
  }
}

들은 말로는 컴포넌트들의 계층 관계가 복잡할 수록 props를 활용하기 어려워지는데, 이 때 대신 쓰는게 Vuex라고…

Event emitting

emit은 상위 컴포넌트로 이벤트를 내보내는 것을 말한다.

$emit(eventType, ...args)

$emit() 함수를 호출해서 구현한다. 이 함수의 첫 번째 인자는 이벤트 타입, 두 번째부터는(…args) 전달할 메시지다. 이벤트 타입은 마음대로 정의하면 된다. 그리고 해당 이벤트 타입의 리스너를 부모 측에서 등록하는 식:

export const emittingTest = {
  template: `
    <button type="button" @click="$emit('custom-event:press', '이 메시지는 컴포넌트에서 시작되어...')">누르면 발싸합니다</button>
  `,
  emits: ['custom-event:press']
};
<emitting-test @custom-event:press="handle"></emitting-test>

emits 속성은 생략해도 작동하긴 하지만 있는게 권장되니 빼먹지 말자. 빼먹으면 fallthrough 속성이 된다.

컴포넌트와 v-model

props로 내려보내진 부모 컴포넌트의 반응형 상태값을 자식 컴포넌트에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요약하면 emit을 이용한 props의 우회 변경인데, props는 읽기 전용이라서 직접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부모 컴포넌트에게 어떤 값으로 변경하라는 이벤트를 emit()하여 부모 컴포넌트가 스스로 변경하게 한다.

가이드를 보면 여러 구현 방법이 있지만, 이게 가장 좋음(하지만 코드 양도 많지):

export const childComponent = {
  template: `
    <select v-model="computedModel">
      <option :value="null">널 값</option>
      <option :value="1">숫자 일</option>
    </select>
  `,
  props: ['selectedValue'],
  emits: ['update:selected-value'],
  computed: {
    computedModel: {
      get() {
        return this.selectedValue;
      },
      set(value) {
        this.$emit('update:selected-value', value);
      }
    }
  }
};
<child-component v-model:selected-value="message"></child-component>

selectedValue는 부모 컴포넌트와 동기화할 props다. 이 변수의 setter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같은 이름의 computed 항목은 만들 수 없기 때문에 computedModel이라는 버퍼를 사용한다.

emit()으로 내보낼 이벤트 이름은 반드시 update:를 접두어로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바인딩 표현식 v-model:selected-value="message"에서 selected-value는 props의 이름을 의미한다. 이 코드에선 부모 컴포넌트의 messageselectedValue라는 이름의 props로 내려보내진다는 의미다.

만약 모델 이름을 생략한 v-model="message"로 작성하면 modelValue라는 이름의 props로 내려간다. (v-model:model-value="message"라고 작성하면 고장나니까 주의) 그리고 이 때에는 이벤트 이름을 update:selected-value가 아니라 update:model-value라고 작성해야 한다.

이것보다 간단한 게 있긴 한데:

export const childComponent = {
  template: `
    <select :value="selectedValue" @input="$emit('update:selected-value', $event.target.value)">
      <option :value="null">널 값</option>
      <option :value="1">숫자 일</option>
    </select>
  `,
  props: ['selectedValue'],
  emits: ['update:selected-value']
};

이 방식은 모델 값이 null일 때 동기화가 제대로 안 되는 버그가 있다. 아마 내부에서 작동하는 유효성 검사기의 버그가 아닐까 싶음.

Template Refs

DOM 요소 혹은 컴포넌트를 직접 다뤄야 때 사용한다.

선언은 ref 혹은 :ref로 하며:

<input ref="focusMe">

이후 $refs 컴포넌트 인스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export default {
  mounted() {
    this.$refs.focusMe.focus()
  }
}

v-for에서 사용하기

refv-for 내부 요소에 사용하면, ref 값은 반복된 요소들을 갖는 배열이 된다:

<template v-for="(ele, index) in elements" :key="index">
  <div ref="whoisdis" :style="{ backgroundColor: ele }" style="width: 100px; height: 100px"></div>
</template>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elements: ['darkred', 'darkblue', 'darkgreen']
    };
  },
  mounted() {
    console.log(this.$refs.whoisdis); // Array(3) [ div, div, div ];
  }
};

그러나 공식 가이드에선 원본 배열의 순서가 ref 배열의 순서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열 순서에 의존하는 코드는 작성하지 말라고 권장한다. 그러니까 v-for 인덱스를 활용하는 방법은 잠재적 버그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만약 v-for로 그려넣는 어떤 입력값들이 있고, v-model을 통해 원시 DOM 객체에 접근하고 싶다면, v-for 반복 인덱스를 활용해 ref값의 이름을 지어주는 방법이 있다:

<div v-for="(item, index) in items" :key="index">
  <input type="text" :id="'inpt' + ((index + 1) * 3)" :ref="'item' + index" v-model="item.value" />
</div>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items: [
        {value: 'a'}, 
        {value: 'b'},
        {value: 'c'}
      ]
    };
  }
  mounted() {
    console.log(this.$refs.item0); // Array [ input#inpt3 ]
    console.log(this.$refs.item0[0]); // <input id="inpt3" type="text">
    console.log(this.$refs.item1[0]); // <input id="inpt6" type="text">
    console.log(this.$refs.item2[0]); // <input id="inpt9" type="text">
  },
};

다만 이렇게 했을 때 ref는 길이가 1인 배열이라는 점을 주의할 것.

<template>의 용도

렌더링 관련 디렉티브(v-if, v-for 등)와 같이 사용한다. 그리고 컴포넌트의 템플릿을 옵션과 함께 컴파일할 때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건 템플릿 컴파일러가 포함된 Vue 빌드에서만 지원된다.

이 태그를 CDN 환경에서 컴포넌트 정의에 사용하려면 vue3-sfc-loader를 같이 써야함.

비동기 컴포넌트 제어: 특정 컴포넌트의 렌더링 멈추기

TODO <Suspense>async setup을 이용해서 컴포넌트 렌더링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