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 MariaDB 노트

Published: by Creative Commons Licence

참고 문서

테스트 환경 정보

  • x.x.x

개요

MariaDB 관련 내용 아무거나 적음.

문자열 연산

무적권 CONCAT()을 써야함:

select '2021-01-01' + ' 23:59:59'; -- 2044
select '2021-01-01' || ' 23:59:59'; -- 1
select concat('2021-01-01', ' 23:59:59'); -- 2021-01-01 23:59:59

연산자로도 되게 해줭… 😒

백틱의 의미

MariaDB에서 `Quote Identifier라고 하며 테이블이나 컬럼명을 명시할 때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생략해도 결과는 같다.

그러나 간혹 테이블 혹은 컬럼, 별칭의 이름이 문법 에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 별칭에 . 이 포함된 경우
select v.dummy.number from (select 1 as 'dummy.number') v;

-- 컬럼 이름과 테이블 이름이 예약된 키워드인 경우
select column from table;

이럴 때 백틱으로 단어를 감싸면 해결됨:

select v.`dummy.number` from (select 1 as 'dummy.number') v;

select `column` from `table`;

메타 데이터 조회

  • Information schema: 오라클에서 Data dictionaries 쯤 되는 것
# 테이블 목록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tables;

# 컬럼 목록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columns;

# 사용 가능한 엔진 목록... 인가?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engines;

로컬 서버 설정

root로 접속

설치 경로에서 mariadb.exe -u root -p 실행:

PS C:\Program Files\MariaDB 10.7\bin> .\mariadb.exe -u root -p

혹은 같이 설치된 MySQL Client 실행.

데이터베이스 생성/보기/선택

> status # 현재 상태 보기
create database maria_db_test default character set utf8;

# create schema create database 별칭이라서 결과는 위와 같음.
create schema maria_db_test default character set utf8;
-- 스키마(database) 조회
show databases;

-- 스키마(database) 상세 조회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schemata;

--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테이블 보기
show tables;
-- 'maria_db_test' 데이터베이스 사용
use maria_db_test

로컬 접속용 유저 생성과 모든 권한 부여

권한 관련 도움말은 여기를 보자.

create user 'fixalot'@'localhost' identified by '1123';
grant all privileges on *.* to 'fixalot'@'localhost';
flush privileges;

다른 유저의 권한을 참고하고 싶을 땐 SHOW GRANTS로 조회되는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는게 편하다.

-- 모든 사용자 조회(권한 필요)
select * from mysql.user;

-- 부여 가능한 privilege 목록
show privileges;

-- 현재 접속한 user의 부여된 권한 보기
show grants;

-- fixalot@localhost에게 부여된 권한 보기
show grants for fixalot@localhost;

로우 넘버

ROWNUM 출력 방법

select @rownum := @rownum + 1 as rownum
from test_table, (select @rownum := 0) r

group_concat: data concatenation

https://www.mariadbtutorial.com/mariadb-aggregate-functions/mariadb-group_concat/

한 건 이상의 데이터를 하나의 문자열로 연결해 표현하는 방법을 말함. GROUP_CONCAT() 함수를 쓴다.

select group_concat(member_name)
from some_member_table
group by member_no

응용하면 1:N 관계의 데이터를 하나의 로우로 이어붙이는 게 가능한데, 여기에 잘 설명돼있음.

정렬 order by

오름차순(ascendent) 기준으로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 작은 수
  • 큰 수
  • 알파벳 빠른 순서의 소문자
  • 알파벳 빠른 순서의 대문자
  • 자음
  • 조합된 한글의 가나다 순
  • 모음

예를 들면:

select a.txt
from (
    select 1 as txt
    union all
    select 2 as txt
    union all
    select 3 as txt
    union all
    select 'a' as txt
    union all
    select 'b' as txt
    union all
    select 'A' as txt
    union all
    select '가' as txt
    union all
    select 'ㅔ' as txt
    union all
    select 'ㄱ' as txt
    union all
    select '히' as txt
) a
order by a.txt

의 결과는:

txt
1
2
3
a
A
b

맴대로 정렬하기

만약 기본 정렬 이외의 요건이 있으면 case 등으로 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서수를 부여하고 정렬한다.

아래는 '영문 > 한글 > 숫자 순으로 정렬'이라는 요건을 구현한 쿼리다. 첫 글자만 잘라 ASCII 코드로 숫자인지, 영문인지, 한글인지를 구분한다:

# 영문, 한글, 숫자 순으로 정렬하기
select a.txt,
    convert(a.txt using utf8) as utf8,
    ascii(a.txt) as ascii,
    substr(a.txt, 1, 1) as "first-letter",
    substr(a.txt, 2, 1) as "second-letter",
    ascii(substr(a.txt, 1, 1)) as "ascii-of-first-letter",
    ascii(substr(a.txt, 2, 1)) as "ascii-of-second-letter",
    convert(a.txt, unsigned) as "converted-number",
    case
        when ascii(a.txt) between 48 and 57 then 2 /*number*/
        when ascii(a.txt) between 65 and 90 then 0 /*alphabet capital*/
        when ascii(a.txt) between 97 and 122 then 0 /*alphabet small letter*/
        else 1 /*unicode*/
    end as sortOrder
from (
    select '111반' as txt
    union all
    select '23' as txt
    union all
    select '222' as txt
    union all
    select '24' as txt
    union all
    select '333' as txt
    union all
    select '0000' as txt
    union all
    select 'abcdf' as txt
    union all
    select 'ba뀨sdf' as txt
    union all
    select 'Aqwe' as txt
    union all
    select 'zx뿅zcv' as txt
    union all
    select 'Zsadf' as txt
    union all
    select 'ㅏ' as txt
    union all
    select '가' as txt
    union all
    select 'ㅔ' as txt
    union all
    select 'ㄱ' as txt
    union all
    select '히' as txt
    union all
    select 'ㅎ' as txt
) a
order by sortOrder, convert(a.txt, unsigned), a.txt

실행 결과:

txt utf8 ascii first-letter second-letter ascii-of-first-letter ascii-of-second-letter converted-number sortOrder
abcdf abcdf 97 a b 97 98 0 0
Aqwe Aqwe 65 A q 65 113 0 0
ba뀨sdf ba뀨sdf 98 b a 98 97 0 0
Zsadf Zsadf 90 Z s 90 115 0 0
zx뿅zcv zx뿅zcv 122 z x 122 120 0 0
227   227 0 0 1
234   234 0 0 1
227   227 0 0 1
237   237 0 0 1
227   227 0 0 1
227   227 0 0 1
0000 0000 48 0 0 48 48 0 2
23 23 50 2 3 50 51 23 2
24 24 50 2 4 50 52 24 2
111반 111반 49 1 1 49 49 111 2
222 222 50 2 2 50 50 222 2
333 333 51 3 3 51 51 333 2

convert(a.txt, unsigned)는 숫자로 이뤄진 문자를 제대로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렬 조건이다.

테이블 조인 JOIN

https://mariadb.com/kb/en/join-syntax

outer join 중 inner join을 먼저 수행하고 싶을 때

가령 t1 테이블과 t2 테이블을 outer join 할 때, 먼저 t2와 t3, t4 테이블의 inner join을 먼저 하고 싶다면?

# t2, t3, t4 inner join하고 t1 outer join
select * 
from t1 
left join (t2, t3, t4)
    on (t2.a = t1.a and t3.b = t1.b and t4.c = t1.c)

# 위와 같음
select * 
from t1 
left join (t2 cross join t3 cross join t4) 
    on (t2.a = t1.a and t3.b = t1.b and t4.c = t1.c)

t2, t3, t4 테이블을 먼저 inner join 한다는 점에 주의할 것. 만약 t2, t3, t4 중에 어느 한 테이블이라도 연결이 끊어진 데이터가 있다면, 그 때는 t2, t3, t4 테이블 모두 아무것도 조회하지 않는다. 모든 테이블을 outer join 하면 연결된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은 있는 만큼만 조회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예를 들어, t2t4 테이블은 t1와 연결되는 데이터가 있고 t3는 없을 때:

  • 위처럼 inner join 후 outer join 하면 t1만 조회되고 t2, t3, t4의 컬럼은 공란으로 조회된다.
  • 모두 outer join 하면 t3의 컬럼만 공란으로 조회된다.

WITH

https://mariadb.com/kb/en/with/

WITH는 CTE(Common Table Expression)를 나타내는 키워드다. MariaDB 10.2.1에 소개되었다.

CTE란 임시 결과 집합을 정의하는 방법이자 표현식을 의미한다. 서브쿼리의 일종이라 볼 수 있고, 쿼리 실행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임시 테이블을 만들어 여러번 참조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라 대충 이해하면 된다.

이렇게 쓴다:

with v1 as (
    select a, b
    from t1 
    where b >= 'c'
),
v2 as (
    select a, c
    from t2
    where somecondition
)
select * 
from t3
join v1 on v1.a = t3.a
join v2 on v2.a = t3.a

CTE는 Non-Recursive와 Recursive 두 종류가 있다.

Recursive CTE는 WITH RECURSIVE 키워드로 표현하고(MariaDB 10.2.2부터 지원) 재귀적 결과 집합을 생성할 때 사용한다.

WITH RECURSIVE 사용 예시 #1

아래는 특정 날짜부터 오늘까지의 날짜 데이터를 임시 테이블로 생성하는 쿼리다:

with recursive dates(date) as (
    select '2023-03-11'
    union all
    select date_add(date, interval 1 day)
    from dates
    where date < curdate()
    # where date < last_day('2023-05-01') # 2023 5월의 마지막 날까지
)
select * from dates

간단히 설명하면, dates라는 이름의 CTE를 정의하고, select '2023-03-11'date 컬럼의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union all 다음에 오는 쿼리에서 datesdate를 활용해 점점 증가하는 데이터를 만들고 where date < curdate()에서 종료 지점을 정의한다.

WITH RECURSIVE 사용 예시 #2

create table employees (
    employeeNo int primary key,
    name varchar(100),
    managerNo int,
    foreign key (managerNo) references employees(employeeNo) on delete cascade
);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1, 'A', null); -- 0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2, 'B', 1001); -- 1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3, 'C', 1001); -- 1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4, 'D', 1002); -- 2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5, 'E', 1002); -- 2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6, 'F', 1004); -- 3
insert into employees values (1007, 'G', 1004); -- 3

이런 테이블과 데이터가 있을 때, 계층적으로 조회하려면 다음처럼 작성한다:

with recursive subordinates as (
    select
        employeeNo, name, managerNo,
        0 as level
    from employees
    where managerNo is null
#     where employeeNo = 재귀탐색을_시작할_번호
    union all
    select
        child.employeeNo, child.name, child.managerNo,
        subordinates.level + 1
    from employees child
    inner join subordinates on child.managerNo = subordinates.employeeNo
)
select *
from subordinates
order by employeeNo

managerNonull인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조회(union 위의 쿼리)하여 subordinates에 할당하고, 이를 join하여 조회(여기부턴 union 아래의 쿼리를 반복함)한 결과를 다시 subordinates에 할당한다. 이 과정을 더 이상 조회되는 데이터가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쿼리라고 이해하면 된다.

특정 employeeNo부터 탐색을 하게 하려면 코멘트 처리된 라인을 해제하고 원하는 키값을 입력한다. 그리고 where managerNo is null 부분을 코멘트 처리하면 된다.

DELETE와 TRUNCATE의 차이

  • TRUNCATEWHERE 절을 사용할 수 없다.
  • TRUNCATEDELETE보다 빠르게 작동한다. TRUNCATE는 테이블 전체를 잠그고 데이터를 삭제하는 반면, DELETE는 각 행을 스캔하여 삭제하기 때문
  • TRUNCATE는 삭제된 행의 수를 반환하지 않는다. 또한 테이블의 auto-increment 값도 초기값으로 재설정된다.

LAST_INSERT_ID()

가장 최근에 실행된 INSERT 문의 결과에서 AUTO_INCREMENT 속성 컬럼으로 할당된 자동 생성 값을 반환한다. 동시성 문제가 있어보이는데, 테스트 해보니 세션 혹은 트랜잭션 기준으로 반환하는 걸로 추정된다.

select last_insert_id()

조건 분기 함수

COALESCE()

COALESCE(value1, value2, ...)

주어진 파라미터를 순서대로 평가하여 NULL이 아닌 값을 반환한다.

select coalesce(null, null, 3, 4);
# 3 출력

select coalesce(null, 0, 1, 2);
# 0 출력

select coalesce(-1, 0, 1, 2);
# -1 출력

select coalesce(5, 4, 3, 2, 1);
# 5 출력

0-1NOT NULL이다.

이 함수는 정렬에서 활용할 수 있다:

ORDER BY COALESCE(B, A) DESC, A DESC

BNULL인 경우 B 대신 A의 값으로 정렬하고, 같은 순위 내에서 A를 기준으로 다시 정렬하는 쿼리다.

AFTER

ALTER TABLE문에서 쓰이는 AFTER 키워드는 MariaDB에서 새 컬럼을 테이블에 추가할 때, 그 컬럼이 테이블 내에서 어느 컬럼 다음에 위치할 지를 지정할 때 쓰인다.

가령 아래와 같은 테이블이 있을 때:

create table TestTable (
  num int primary key,
  txt varchar(20) not null,
  bool boolean
);
alter table TestTable add column txt2 varchar(2) null after txt;

ALTER를 아래처럼 하면:

alter table TestTable add column txt2 varchar(2) null;

새 컬럼이 boolean 컬럼 뒤, 그러니까 맨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지만, 아래처럼 after txt를 붙여주면:

alter table TestTable add column txt2 varchar(2) null after txt;

새 컬럼은 txt의 바로 뒤 순서로 만들어진다.